1. 수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0년 4월 10일 |
2. 수정사항 |
항 목 | 수 정 전 | 수 정 후 | 수정사유 | 수 정 일 |
---|---|---|---|---|
장기 차입금 | 2019년 기말잔액 : 6,846,343 변동금액 : 295,966 자기자본대비비율 : 13.93 차입금의존도 : 60.60 |
2019년 기말잔액 : 6,847,261 변동금액 : 296,884 자기자본대비비율 : 13.98 차입금의존도 : 60.61 주요 차입형태 : (추가)리스 부채 |
통합공시 매뉴얼 수정에 따른 경영공시 수정 |
2020년 9월 3일 |
단기 차입금 | 2019년 기말잔액 : 1,279,557 변동금액 : 200,571 자기자본대비비율 : 9.44 |
2019년 기말잔액 : 1,280,346 변동금액 : 201,360 자기자본대비비율 : 9.48 주요 차입형태 : (추가)리스부채 |
통합공시 매뉴얼 수정에 따른 경영공시 수정 |
2020년 9월 3일 |
(2020년 1/4분기) |
한국농어촌공사 |
장기차입금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기초잔액 | 5,067,952 | 6,024,682 | 6,497,880 | 6,466,595 | 6,550,377 |
기말잔액 | 6,024,682 | 6,497,880 | 6,466,595 | 6,550,377 | 6,847,261 |
변동금액 | 956,730 | 473,198 | -31,285 | 83,782 | 296,884 |
변동사유(차입목적) | 농가경영회생지원, 매입비축사업 등 농지관리기금 차입금 증가 및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사채발행 등 | 농가경영회생지원, 매입비축사업 등 농지관리기금 차입금 증가 및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사채발행 등 | 농가경영회생지원, 매입비축사업 등 농지관리기금 차입금 증가 및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사채발행 등 | 농가경영회생지원, 매입비축사업 등 농지관리기금 차입금 증가 및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사채발행 등 | 농가경영회생지원, 매입비축사업 등 농지관리기금 차입금 증가 및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사채발행 등 |
주요 차입형태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 사채발행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 사채발행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 사채발행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 사채발행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 사채발행, 리스부채 |
자기자본대비비율 | 48.72 | 22.25 | -1.47 | 4.03 | 13.98 |
차입금의존도 | 60.28 | 62.87 | 59.42 | 61.44 | 60.61 |
단기차입금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기초잔액 | 971,844 | 826,839 | 585,199 | 877,832 | 1,078,986 |
기말잔액 | 826,839 | 585,199 | 877,832 | 1,078,986 | 1,280,346 |
변동금액 | -145,005 | -241,640 | 292,633 | 201,154 | 201,360 |
변동사유(차입목적) | (변동사유)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상환, 유동성사채 감소 (주요차입목적)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발행 및 사채 유동성대체, 김포매립지 조성비 기업어음 발행, 농지은행사업 장기차입금 유동성대체 |
(변동사유) 유동성사채 감소, 농진청 종전 부동산개발 및 김포매립지 조성비 기업어음 상환 (주요차입목적)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발행 및 사채 유동성대체, 김포매립지 조성비 기업어음 발행, 농지은행사업 장기차입금 유동성대체 |
(변동사유) 농진청 종전부동산 개발 사채 유동성대체 및 기업어음 발행 (주요차입목적)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발행 및 사채 유동성대체, 김포매립지 조성비 기업어음 발행, 농지은행사업 장기차입금 유동성대체 |
(변동사유) 농진청 종전부동산 개발 사채 유동성대체 및 기업어음 발행 (주요차입목적)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발행 및 사채 유동성대체, 김포매립지 조성비 기업어음 발행, 농지은행사업 장기차입금 유동성대체 |
(변동사유) 농진청 종전부동산 개발 사채 유동성대체 및 기업어음 발행 (주요차입목적) 농진청 종전부동산개발 기업어음 발행 및 사채 유동성대체, 농지은행사업 장기차입금 유동성대체 |
주요 차입형태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유동성장기차입금), 사채발행(유동성사채), 및 금융기관차입(단기차입금)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유동성장기차입금), 사채발행(유동성사채), 및 금융기관차입(단기차입금)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유동성장기차입금), 사채발행(유동성사채), 및 금융기관차입(단기차입금)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유동성장기차입금), 사채발행(유동성사채), 및 금융기관차입(단기차입금) | 금융기관 외의 자로부터의 차입(유동성장기차입금), 사채발행(유동성사채), 및 금융기관차입(단기차입금), 리스부채 |
자기자본대비비율 | -7.38 | -11.36 | 13.73 | 9.67 | 9.48 |
차입금의존도 | 8.27 | 5.66 | 8.07 | 10.12 | 11.33 |
공통공개기준 |
ㅇ 차입기간이 1년 이상이면 장기, 1년 미만이면 단기로 구분 ㅇ 변동금액 : 기말잔액에서 기초잔액을 차감한 금액 ㅇ 자기자본대비비율 : 변동금액이 자기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백분율) ㅇ 차입금의존도 : 총자산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백분율) |
기관 세부 작성기준 |
1. 주된 차입형태는 농지관리기금에서의 차입이고, 이것은 농민에게 지원되는 장기차입금 입니다. 추가적인 차입 형태는 종전부동산 등 부지매입을 위한 사채 발행 등 입니다. 2. 공사는 2013회계연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하였습니다. 3.공사는 전기(2015년) 재무제표 상 단기매입채무 등이 과대계상되었으며, 이는 중대한 오류에 해당되어 2016년 결산시 전기(2015년) 재무제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그 결과 2015년 재무상태표가 수정되었고 2015년 장단기 차입금 현황이 수정되었습니다. 4. 2018년 **은행에 발행한 UFCP 에 대하여 변동금리지급 이자를 고정금리로 변경하는 이자율 스왑거래(5년만기) 체결하였습니다. 이에따라 유동파생상품부채 1,132백만원, 비유동파생상품부채 2,790백만원을 제외하고 장단기 차입금 내역을 작성하였습니다. |
기준일 | 2019년 12월 31일 | 제출일 | 2020년 09월 03일 |
기관 공시 담당자 |
구분 | 담당자명 | 부서명 | 전화번호 |
---|---|---|---|
작성자 | 박경용 | 경영지원처 | 061-338-6067 |
감독자 | 이정문 | 경영혁신실 | 061-338-5181 |
확인자 | 정인노 | 감 사 실 | 061-338-65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