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4분기) |
한국전력거래소 |
정규직(일반정규직) | (단위: 천원, 명, 월) |
구분 | 2015년 결산 | 2016년 결산 | 2017년 결산 | 2018년 결산 | 2019년 결산 | 2020년 예산 |
---|---|---|---|---|---|---|
기본급 | 60,254 | 60,562 | 58,960 | 59,339 | 58,140 | 59,767 |
고정수당 * | 13,296 | 13,483 | 13,588 | 13,677 | 13,257 | 13,626 |
실적수당 * | 2,642 | 2,521 | 2,027 | 1,853 | 1,607 | 1,651 |
급여성 복리후생비 | 202 | 179 | 151 | 111 | 69 | 70 |
성과상여금 | 14,149 | 15,963 | 15,280 | 14,342 | 12,859 | 12,232 |
(경영평가 성과급) | 0 | 2,334 | 1,341 | 1,251 | 960 | 0 |
기타 | 218 | 323 | 607 | 222 | 163 | 167 |
1인당 평균 보수액 | 90,764 | 93,032 | 90,614 | 89,544 | 86,098 | 87,513 |
(남성) | 0 | 0 | 94,577 | 93,394 | 90,690 | 93,227 |
(여성) | 0 | 0 | 59,857 | 62,424 | 61,319 | 63,033 |
비 고 | ㅇ 남성직원의 평균 근속연수가 여성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보다 높고, 여성 직원중에는 교대근무자가 없기 때문에(교대 근무자는 일반 근무자에 비해 시간외 근무 수당이 많음) 남성 직원의 평균보수액이 여성 직원의 평균 보수액보다 높음. 또한 여성직원 중에는 별정직 비율이 높음(별정직은 일반직에 비해 평균보수가 낮음) | |||||
상시 종업원수 | 331.60 | 340.90 | 356.70 | 382.83 | 443.49 | 418.32 |
(남성) | 0 | 0 | 316.00 | 335.27 | 374.15 | 352.92 |
(여성) | 0 | 0 | 40.70 | 47.56 | 69.34 | 65.41 |
평균근속연수 | 199 | 195 | 196 | 180 | 148 | 140 |
(남성) | 0 | 0 | 207 | 190 | 158 | 153 |
(여성) | 0 | 0 | 118 | 114 | 94 | 86 |
비 고 | ㅇ 여성직원의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직원의 평균 근속연수보다 낮은 이유는 2001년 설립당시 한국전력에서 전적한 인원 중 대다수가 남성이었으며, 설립 초기 채용된 신입직원 중 대다수가 남성이었기 때문임 | |||||
* 세부수당 별도첨부 |
자료_1(2015년 결산)_정규직.hwp | 자료_2(2016년 결산)_정규직.hwp | 자료_3(2017년 결산)_정규직.hwp | 자료_4(2018년 결산)_정규직.hwp | 자료_5(2019년 결산)_정규직.hwp | 자료_6(2020년 예산)_정규직.hwp |
* 경영평가 성과급의 경우 당해연도 예산은 경영평가 결과 미확정으로 0으로 기재 |
정규직(무기계약직) | (단위: 천원, 명, 월) |
구분 | 2015년 결산 | 2016년 결산 | 2017년 결산 | 2018년 결산 | 2019년 결산 | 2020년 예산 |
---|---|---|---|---|---|---|
기본급 | 0 | 0 | 0 | 20,996 | 22,040 | 22,657 |
고정수당 * | 0 | 0 | 0 | 3,677 | 3,652 | 3,753 |
실적수당 * | 0 | 0 | 0 | 1,582 | 1,651 | 1,695 |
급여성 복리후생비 | 0 | 0 | 0 | 0 | 0 | 0 |
성과상여금 | 0 | 0 | 0 | 0 | 0 | 0 |
(경영평가 성과급) | 0 | 0 | 0 | 0 | 0 | 0 |
기타 | 0 | 0 | 0 | 0 | 9 | 9 |
1인당 평균 보수액 | 0 | 0 | 0 | 26,255 | 27,353 | 28,114 |
(남성) | 0 | 0 | 0 | 31,079 | 32,161 | 33,060 |
(여성) | 0 | 0 | 0 | 24,554 | 25,757 | 26,476 |
비 고 | ㅇ남성 직원 중에는 실적수당을 지급받는 직원이 포함되어 있어 남성 직원의 평균 보수액이 여성 직원의 평균 보수액보다 높음 | |||||
상시 종업원수 | 0 | 0 | 0 | 23.00 | 20.75 | 13.92 |
(남성) | 0 | 0 | 0 | 6.00 | 5.17 | 3.47 |
(여성) | 0 | 0 | 0 | 17.00 | 15.58 | 10.45 |
평균근속연수 | 0 | 0 | 0 | 0 | 10 | 16 |
(남성) | 0 | 0 | 0 | 0 | 9 | 13 |
(여성) | 0 | 0 | 0 | 0 | 10 | 18 |
비 고 | - | |||||
* 세부수당 별도첨부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자료_1(2018년 결산)_무기계약직_전일제.hwp | 자료_2(2019년 결산)_무기계약직_전일제.hwp | 자료_3(2020년 예산)_무기계약직_전일제.hwp |
* 경영평가 성과급의 경우 당해연도 예산은 경영평가 결과 미확정으로 0으로 기재 |
정규직(단시간 무기계약직) | (단위: 천원, 명, 월) |
구분 | 2015년 결산 | 2016년 결산 | 2017년 결산 | 2018년 결산 | 2019년 결산 | 2020년 예산 |
---|---|---|---|---|---|---|
기본급 | 0 | 0 | 0 | 0 | 21,088 | 21,678 |
고정수당 * | 0 | 0 | 0 | 0 | 6,810 | 6,999 |
실적수당 * | 0 | 0 | 0 | 0 | 0 | 0 |
급여성 복리후생비 | 0 | 0 | 0 | 0 | 193 | 198 |
성과상여금 | 0 | 0 | 0 | 0 | 0 | 0 |
(경영평가 성과급) | 0 | 0 | 0 | 0 | 0 | 0 |
기타 | 0 | 0 | 0 | 0 | 0 | 0 |
1인당 평균 보수액 | 0 | 0 | 0 | 0 | 28,092 | 28,875 |
(남성) | 0 | 0 | 0 | 0 | 28,463 | 29,258 |
(여성) | 0 | 0 | 0 | 0 | 28,003 | 28,786 |
비 고 | ㅇ남성 직원 중에는 실적수당을 지급받는 직원이 포함되어 있어 남성 직원의 평균 보수액이 여성 직원의 평균 보수액보다 높음 | |||||
상시 종업원수 | 0 | 0 | 0 | 0 | 1.50 | 1.50 |
(남성) | 0 | 0 | 0 | 0 | 0.29 | 0.29 |
(여성) | 0 | 0 | 0 | 0 | 1.21 | 1.21 |
평균근속연수 | 0 | 0 | 0 | 0 | 5 | 17 |
(남성) | 0 | 0 | 0 | 0 | 6 | 18 |
(여성) | 0 | 0 | 0 | 0 | 5 | 17 |
비 고 | - | |||||
* 세부수당 별도첨부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자료_1(2019년 결산)_무기계약직_단시간.hwp | 자료_2(2020년 예산)_무기계약직_단시간.hwp |
* 경영평가 성과급의 경우 당해연도 예산은 경영평가 결과 미확정으로 0으로 기재 |
공통공개기준 |
ㅇ 직원평균임금 : 각 연도별 상시종업원 전체에 대해 지급된 보수액을 상시종업원수로 나눈 금액 ㅇ 상시종업원수 : 각 월별 급여지급일 현재 급여 지급대상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수의 연간합계를 12월로 나눈 인원 ㅇ 기본급(기본연봉) - 연봉제인 경우 : 연봉액 - 연봉제가 아닌 경우 : 직급 및 호봉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기본 급여액 ㅇ 고정수당 - 고정수당 : 실적과 무관하게 지급되는 수당 (예시) 자격, 특수지근무, 특수업무, 가족, 해외근무수당 등 ㅇ 실적수당 - 실적수당 :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수당 (예시) 시간외 근무, 야간근로, 휴일근무, 연차수당 등 ㅇ 급여성 복리후생비 - ‘인건비’에 속하지 않는 항목으로서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개인이 자유롭게 처분 할 수 있는 복리후생비적 성격의 비용 (예시) 자가운전보조금, 장기근속격려금, 건강진단비 (단, 실제 건강진단여부와 관련없이 금전으로 지급하는 경우) 등 ㅇ 성과상여금 - 성과상여금, 경영평가 성과급, 자체성과급, 성과연봉, 내부평가상여금 등 업적, 성과 등에 따라 차등지급되는 급여 ㅇ 경영평가성과급 -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 제48조의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성과급(공기업, 준공공기관만 해당) ㅇ 성별 1인당 평균보수액은 성별 총 보수지급액을 성별 상시 종업원 수로 나눈 값임 |
기관 세부 작성기준 |
ㅇ평균근속년수는 매뉴얼 및 FAQ에 따라 산정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
(단위: 천원, 명) |
구분 | 2015년 결산 | 2016년 결산 | 2017년 결산 | 2018년 결산 | 2019년 결산 | 2020년 예산 |
---|---|---|---|---|---|---|
기본급 | 30,677 | 31,275 | 31,364 | 33,589 | 35,737 | 36,737 |
고정수당 | 7,526 | 7,149 | 7,159 | 7,419 | 7,669 | 7,785 |
실적수당 | 0 | 0 | 0 | 0 | 0 | 0 |
급여성 복리후생비 | 0 | 0 | 0 | 0 | 0 | 0 |
성과상여금 | 0 | 0 | 0 | 0 | 0 | 0 |
(경영평가 성과급) | 0 | 0 | 0 | 0 | 0 | 0 |
기타 | 0 | 0 | 0 | 0 | 0 | 0 |
합계 | 38,203 | 38,424 | 38,523 | 41,008 | 43,406 | 44,522 |
* 경영평가 성과급의 경우 당해연도 예산은 경영평가 결과 미확정으로 0으로 기재 |
공통공개기준 |
ㅇ 신입사원초임은 대졸, 사무직, 군미필자, 무경력자 대졸 최하위 직급을 기준 ㅇ 신입사원이 없는 경우에도, 신입사원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공시 * 신입사원이 연중에 채용되어 실제 지급이 1년 미만인 경우, 1년을 기준으로 지급가능 한 금액으로 환산 ㅇ 기본급(기본연봉) - 연봉제인 경우 : 연봉액 - 연봉제가 아닌 경우 : 직급 및 호봉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기본 급여액 ㅇ 고정수당 - 고정수당 : 실적과 무관하게 지급되는 수당 (예시) 자격, 특수지근무, 특수업무, 가족, 해외근무수당 등 ㅇ 실적수당 - 실적수당 :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수당 (예시) 시간외 근무, 야간근로, 휴일근무, 연차수당 등 ㅇ 급여성 복리후생비 - ‘인건비’에 속하지 않는 항목으로서 명칭 여하에 불구하고 개인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복리후생비적 성격의 비용 (예시) 자가운전보조금, 장기근속격려금, 건강진단비 (단, 실제 건강진단여부와 관련없이 금전으로 지급하는 경우) 등 ㅇ 성과상여금 - 성과상여금, 경영평가 성과급, 자체성과급, 성과연봉, 내부평가상여금 등 업적, 성과 등에 따라 차등지급되는 급여 ㅇ 경영평가성과급 - 공공기관의운영에관한법률 제48조의 경영실적평가 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성과급 (공기업, 준공공기관만 해당) |
기준일 | 2019년 12월 31일 | 제출일 | 2020년 04월 21일 |
기관 공시 담당자 |
구분 | 담당자명 | 부서명 | 전화번호 |
---|---|---|---|
작성자 | 함정석 | 경영관리처 | 061-330-8501 |
감독자 | 정언진 | 기획처 | 061-330-8140 |
확인자 | 심현보 | 감사실 | 061-330-8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