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4분기) |
한국저작권보호원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사유 | 급여 지급기준 | 지급기간 | 근거규정 |
---|---|---|---|
업무상 공상 | 기본연봉의 100% | 1년 이내 | 보수규정 제9조 |
업무외 질병 | 기본연봉의 100% | 2개월 | 보수규정 제9조 |
병역 휴직 | 미지급 (단 휴직한 달의 연봉월액은 전액 지급) |
- | 보수규정 제14조 |
고용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유학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연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육아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가족 간호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해외 동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일신상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정규직(무기계약직) |
사유 | 급여 지급기준 | 지급기간 | 근거규정 |
---|---|---|---|
업무상 공상 | 기본연봉의 100% | 1년 이내 | 보수규정 제9조 |
업무외 질병 | 기본연봉의 100% | 2개월 | 보수규정 제9조 |
병역 휴직 | 미지급 (단 휴직한 달의 연봉월액은 전액 지급) |
- | 보수규정 제14조 |
고용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유학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연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육아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가족 간호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해외 동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일신상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비정규직 |
사유 | 급여 지급기준 | 지급기간 | 근거규정 |
---|---|---|---|
업무상 공상 | 기본연봉의 100% | 1년 이내 | 보수규정 제9조 |
업무외 질병 | 기본연봉의 100% | 2개월 | 보수규정 제9조 |
병역 휴직 | 미지급 (단 휴직한 달의 연봉월액은 전액 지급) |
- | 보수규정 제14조 |
고용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유학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연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육아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가족 간호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해외 동반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일신상 휴직 | 미지급 | 해당없음 | 보수규정 제9조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항목 | 내용 | 근거규정 |
---|---|---|
퇴직금 적립기준 | 근속기간 1년당 1월분의 평균임금 적립(월할계산) | 보수규정 제30조 |
장기근속자 퇴직수당, 특별위로금 지급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경평 성과금 평균임금 포함 여부 |
미포함 | 해당없음 |
명퇴수당, 명예퇴직금 등 지급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비위행위자의 퇴직금 감액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항목 | 내용 | 근거규정 |
---|---|---|
퇴직금 적립기준 | 근속기간 1년당 1월분의 평균임금 적립(월할계산) | 보수규정 제30조 |
장기근속자 퇴직수당, 특별위로금 지급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경평 성과금 평균임금 포함 여부 |
미포함 | 해당없음 |
명퇴수당, 명예퇴직금 등 지급기준 |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으로서 정년 잔여기간이 1년 이상인 자가 퇴직을 희망하는 경우,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으로서 직제와 정원의 개폐 또는 예산의 감소 등으로 퇴직을 원하는 경우 지급 | 인사규정 제42조, 보수규정 제33조 |
비위행위자의 퇴직금 감액기준 |
징계처분 기타의 사유로 봉급이 감액중인 직원에 대하여는 감액된 연봉월액을 계산하여 해당 월 연봉월액을 지급 | 인사규정 제47조, 보수규정 제14조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항목 | 내용 | 근거규정 |
---|---|---|
퇴직금 적립기준 | 근속기간 1년당 1월분의 평균임금 적립(월할계산) | 보수규정 제30조 |
장기근속자 퇴직수당, 특별위로금 지급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경평 성과금 평균임금 포함 여부 |
미포함 | 해당없음 |
명퇴수당, 명예퇴직금 등 지급기준 |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으로서 정년 잔여기간이 1년 이상인 자가 퇴직을 희망하는 경우,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으로서 직제와 정원의 개폐 또는 예산의 감소 등으로 퇴직을 원하는 경우 지급 | 인사규정 제42조, 보수규정 제33조 |
비위행위자의 퇴직금 감액기준 |
징계처분 기타의 사유로 봉급이 감액중인 직원에 대하여는 감액된 연봉월액을 계산하여 해당 월 연봉월액을 지급 | 인사규정 제47조, 보수규정 제14조 |
비정규직 |
항목 | 내용 | 근거규정 |
---|---|---|
퇴직금 적립기준 | 근속기간 1년당 1월분의 평균임금 적립(월할계산) | 보수규정 제30조 |
장기근속자 퇴직수당, 특별위로금 지급기준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경평 성과금 평균임금 포함 여부 |
미포함 | 해당없음 |
명퇴수당, 명예퇴직금 등 지급기준 |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으로서 정년 잔여기간이 1년 이상인 자가 퇴직을 희망하는 경우, 1년 이상 근무한 직원으로서 직제와 정원의 개폐 또는 예산의 감소 등으로 퇴직을 원하는 경우 지급 | 인사규정 제42조, 보수규정 제33조 |
비위행위자의 퇴직금 감액기준 |
징계처분 기타의 사유로 봉급이 감액중인 직원에 대하여는 감액된 연봉월액을 계산하여 해당 월 연봉월액을 지급 | 인사규정 제47조, 보수규정 제14조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단위: %) |
가산지급 사유 | 가산율 |
---|---|
직무상 부상.사망 | - |
직무외 부상.사망 | - |
명예퇴직 등 | 1. 정년 남은 기간이 1년 이상 5년 이내인 경우 : 퇴직 당시 연봉월액의 반액 x 정년 잔여월수 2. 정년 남은 기간이 5년 이상 10년 이내인 경우 : 퇴직 당시 연봉월액의 반액 x {60월 + (정년 잔여월수 - 60월) x 1/2} 3. 정년 남은 기간이 10년 초과인 경우 : 정년 남은 기간이 10년 이내인 자의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지급(10년을 초과하는 정년 남은 기간에 대해서는 명예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4. 조기퇴직금 : 퇴직당시 연봉월액 x 6월 |
정규직(무기계약직) | (단위: %) |
가산지급 사유 | 가산율 |
---|---|
직무상 부상.사망 | - |
직무외 부상.사망 | - |
명예퇴직 등 | 1. 정년 남은 기간이 1년 이상 5년 이내인 경우 : 퇴직 당시 연봉월액의 반액 x 정년 잔여월수 2. 정년 남은 기간이 5년 이상 10년 이내인 경우 : 퇴직 당시 연봉월액의 반액 x {60월 + (정년 잔여월수 - 60월) x 1/2} 3. 정년 남은 기간이 10년 초과인 경우 : 정년 남은 기간이 10년 이내인 자의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지급(10년을 초과하는 정년 남은 기간에 대해서는 명예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4. 조기퇴직금 : 퇴직당시 연봉월액 x 6월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단위: 일) |
공가 구분 | 공무원 복무기준 | 기관운영기준 | ||
---|---|---|---|---|
경조사 휴가 |
결혼 | 본인 | 5일 | 5일 |
자녀 | 1일 | 1일 | ||
배우자출산 | 10일 | 10일 | ||
입양 | 20일 | 20일 | ||
사망 | 배우자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부모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조부모· 외조부모 |
3일 | 2일 | ||
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 3일 | 2일 | ||
본인.배우자의 형제자매 | 1일 | 1일 | ||
출산 휴가 (한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출산 휴가) |
90일 (120일) |
90일 (120일) |
||
여성 보건휴가 | 매월 1일(무급) | 월 1일(무급) | ||
방통대 출석 | 연가일수 초과시 수업일수 | - | ||
재해구호휴가 | 5일 | 5일 | ||
유산/사산휴가 | 임신기간 15주 이내 | 10일 | 11주 이내: 5일 15주 이내: 10일 |
|
임신기간 16∼21주 | 30일 | 30일 | ||
임신기간 22∼27주 | 60일 | 60일 | ||
임신기간 28주 이상 | 90일 | 90일 | ||
인공(체외)수정, 불임 치료 | 1일 | 1일 | ||
체외수정시 난자채취일 | 1일 | 1일 | ||
포상 휴가 | 10일 | 6일 | ||
자녀돌봄휴가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
2일 (3일) |
- | ||
임신검진휴가 | 10일 | - 28주까지 : 4주마다 1회 - 29주에서 36주까지 : 2주마다 1회 - 37주 이후 : 1주마다 1회 |
||
병가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80일)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80일) |
정규직(일반정규직) | (단위: 일) |
공가 구분 | 공무원 복무기준 | 기관운영기준 | ||
---|---|---|---|---|
경조사 휴가 |
결혼 | 본인 | 5일 | 5일 |
자녀 | 1일 | 1일 | ||
배우자출산 | 10일 | 10일 | ||
입양 | 20일 | 20일 | ||
사망 | 배우자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부모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조부모· 외조부모 |
3일 | 2일 | ||
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 3일 | 2일 | ||
본인.배우자의 형제자매 | 1일 | 1일 | ||
출산 휴가 (한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출산 휴가) |
90일 (120일) |
90일 (120일) |
||
여성 보건휴가 | 매월 1일(무급) | 월 1일(무급) | ||
방통대 출석 | 연가일수 초과시 수업일수 | - | ||
재해구호휴가 | 5일 | 5일 | ||
유산/사산휴가 | 임신기간 15주 이내 | 10일 | 11주 이내: 5일 15주 이내: 10일 |
|
임신기간 16∼21주 | 30일 | 30일 | ||
임신기간 22∼27주 | 60일 | 60일 | ||
임신기간 28주 이상 | 90일 | 90일 | ||
인공(체외)수정, 불임 치료 | 1일 | 1일 | ||
체외수정시 난자채취일 | 1일 | 1일 | ||
포상 휴가 | 10일 | 6일 | ||
자녀돌봄휴가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
2일 (3일) |
- | ||
임신검진휴가 | 10일 | - 28주까지 : 4주마다 1회 - 29주에서 36주까지 : 2주마다 1회 - 37주 이후 : 1주마다 1회 |
||
병가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정규직(무기계약직) | (단위: 일) |
공가 구분 | 공무원 복무기준 | 기관운영기준 | ||
---|---|---|---|---|
경조사 휴가 |
결혼 | 본인 | 5일 | 5일 |
자녀 | 1일 | 1일 | ||
배우자출산 | 10일 | 10일 | ||
입양 | 20일 | 20일 | ||
사망 | 배우자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부모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조부모· 외조부모 |
3일 | 2일 | ||
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 3일 | 2일 | ||
본인.배우자의 형제자매 | 1일 | 1일 | ||
출산 휴가 (한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출산 휴가) |
90일 (120일) |
90일 (120일) |
||
여성 보건휴가 | 매월 1일(무급) | 월 1일(무급) | ||
방통대 출석 | 연가일수 초과시 수업일수 | - | ||
재해구호휴가 | 5일 | 5일 | ||
유산/사산휴가 | 임신기간 15주 이내 | 10일 | 11주 이내: 5일 15주 이내: 10일 |
|
임신기간 16∼21주 | 30일 | 30일 | ||
임신기간 22∼27주 | 60일 | 60일 | ||
임신기간 28주 이상 | 90일 | 90일 | ||
인공(체외)수정, 불임 치료 | 1일 | 1일 | ||
체외수정시 난자채취일 | 1일 | 1일 | ||
포상 휴가 | 10일 | 6일 | ||
자녀돌봄휴가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
2일 (3일) |
- | ||
임신검진휴가 | 10일 | - 28주까지 : 4주마다 1회 - 29주에서 36주까지 : 2주마다 1회 - 37주 이후 : 1주마다 1회 |
||
병가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비정규직 | (단위: 일) |
공가 구분 | 공무원 복무기준 | 기관운영기준 | ||
---|---|---|---|---|
경조사 휴가 |
결혼 | 본인 | 5일 | 5일 |
자녀 | 1일 | 1일 | ||
배우자출산 | 10일 | 10일 | ||
입양 | 20일 | 20일 | ||
사망 | 배우자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부모 | 5일 | 5일 | ||
본인.배우자의 조부모· 외조부모 |
3일 | 2일 | ||
자녀와 그 자녀의 배우자 | 3일 | 2일 | ||
본인.배우자의 형제자매 | 1일 | 1일 | ||
출산 휴가 (한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 출산 휴가) |
90일 (120일) |
90일 (120일) |
||
여성 보건휴가 | 매월 1일(무급) | 월 1일(무급) | ||
방통대 출석 | 연가일수 초과시 수업일수 | - | ||
재해구호휴가 | 5일 | 5일 | ||
유산/사산휴가 | 임신기간 15주 이내 | 10일 | 11주 이내: 5일 15주 이내: 10일 |
|
임신기간 16∼21주 | 30일 | 30일 | ||
임신기간 22∼27주 | 60일 | 60일 | ||
임신기간 28주 이상 | 90일 | 90일 | ||
인공(체외)수정, 불임 치료 | 1일 | 1일 | ||
체외수정시 난자채취일 | 1일 | 1일 | ||
포상 휴가 | 10일 | 6일 | ||
자녀돌봄휴가 (자녀가 2명 이상인 경우) |
2일 (3일) |
- | ||
임신검진휴가 | 10일 | - 28주까지 : 4주마다 1회 - 29주에서 36주까지 : 2주마다 1회 - 37주 이후 : 1주마다 1회 |
||
병가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연 60일 (업무상 질병 또는 부상인 경우 160일) |
임원 | (단위: 일) |
휴가사유 | 일수 |
---|---|
기타 특별휴가 | 재량 |
정규직(일반정규직) | (단위: 일) |
휴가사유 | 일수 |
---|---|
기타 특별휴가 | 재량 |
정규직(무기계약직) | (단위: 일) |
휴가사유 | 일수 |
---|---|
기타 특별휴가 | 재량 |
비정규직 | (단위: 일) |
휴가사유 | 일수 |
---|---|
기타 특별휴가 | 재량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일반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정규직(무기계약직) |
해당사항 없음 |
비정규직 |
해당사항 없음 |
기준일 | 2019년 12월 31일 | 제출일 | 2020년 04월 09일 |
기관 공시 담당자 |
구분 | 담당자명 | 부서명 | 전화번호 |
---|---|---|---|
작성자 | 차빛나 | 경영지원팀 | 02-3153-2402 |
감독자 | 김욱환 | 경영지원팀 | 02-3153-2451 |
확인자 | 성원영 | 감사팀 | 02-3153-2420 |